top of page

설근체조

 

신촌극장 2019 라인업

2019. 11. 22 ~ 24

신촌극장

GUCCI 기획전시_NO SPACE, JUST A PLACE ‘ETEROTOPIA’ <설근체조> 영상전시

2020. 4. 17 ~ 7. 12

대림미술관

2022 Korean Dance Festival _ 영국 The place 극장 초청공연 
The Place 극장

한국춤비평가협회 2019 베스트작품상 수상

​이윤정의 <설근체조>는 혀(뿌리) 운동의 메커니즘에 안무의 기술로 접근하여 운동이 예술작품으로 변형되는 과정을 실험한다.

작가가 우연히 시도했던 혀뿌리 움직임은 지금까지 들여다보지 않았던 내장 기관의 연쇄적인 움직임에서 비롯된 춤의 밀도감을 경험하게 했으며, 이 작업의 모티프가 되었다. 혀는 움직임의 발생이 가능한 근육으로 맛을 느끼거나 음식물 섭취에 관여하며, 언어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일상과 무대에서 종종 은폐되거나 그 자체로의 ‘물질’과 관계없이 익숙한 기호로 작동한다.

작가는 혀와 혀뿌리를 활성화하기 위한 체조를 스코어(score)의 전략을 통해 구축하는 동시에 안무에 대한 아이디어를지속적으로 제공한다. 이 과정은 혀에 달라붙은 사회적 규범이나 관습을 해체하는 동시에 혀의 물질성으로부터 비롯된 개별적 이미지의 생산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 작품은 신체를 매체로 하는 춤에서 역사와 맥락, 이데올로기의 대상에서 누락되어왔던 ‘혀’를 통해 춤에 대한 의문을 제시하는 동시에 ‘실재’와 ‘물질성’으로 탐구되는 춤의 가능성에 대한 탐구이기도 하다.

 

In the piece <Tongue Gymnastics>, Yun Jung LEE applies a choreographic technique into the physical mechanism of the tongue root’s movement and experiments the process of the movement being transformed into the work of art. The tongue root movement the choreographer had accidentally found led to the experience of the density in dance resulting from the sequential movements of internal organs that had never been noticed before and became a motif for this piece.

The tongue, which is a muscle generating the movement, can feel the taste and it relates to the food intake. It also has the function of generating the language, but it often gets hidden in daily lives and on stage in theaters or functions as a formalized and familiar symbol regardless of ‘its substances’.

The Choreographer builds gymnastics to activate the tongue and tongue roots through a score-based strategy, while continuously providing ideas for the choreography. This process dissolves social norms or customs that relates to the tongue while connecting to the production of individual images arose from the materiality of the tongue.

Therefore, the piece questions about the dance through the 'tongue' that has been excluded from the subject of history,

context, and ideology in dance, while at the same time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dance being experimented as 'reality' and 'materiality'. 

_98A5518.jpg
_98A5740.jpg
_98A6308.jpg
_98A6076.jpg
_98A6312.jpg
bottom of page